주식 기초: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1.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기업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표로서, 크게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산(Asset)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유형/무형의 재산을 의미한다.
부채(Liabilities)는 다른 말로 빚이라고도 하며, 타인의 자본으로 상환 의무를 갖는 재산이다.
자본(Equity)은 자기 자본 또는 순자산이라고도 하며, 자산에서 부채를 제한 금액이다. 주식은 자본에 대한 권리이다.
이들은 자산 = 부채 + 자본의 관계를 가진다.
자산 (Asset) | 부채 (Liabilities) |
자본 (Equity) |
자산과 부채는 크게 유동/비유동 자산/부채로 나뉜다.
유동/비유동의 기준은 기간으로서,
1년 이내 돈이 되는 자산을 유동자산,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비유동자산,
1년 이내 갚아야 하는 부채는 유동부채, 1년 이후 갚아도 되는 부채는 비유동부채이다.
재무상태표에서는
자기자본비율(=자본/자산)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을 통해 회사의 안정성을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다.
2. 손익계산서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표로서, 크게 수익, 비용, 이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수익 - 비용 = 이익의 관계를 갖는다.
수익(revenue)은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판매한 매출액인 '영업수익(operating revenue)'과
그 외의 '영업외수익(non-operaging revenue)'으로 나뉜다.
영업수익은 매출액(sales)를 의미한다.
비용(expense)도 마찬가지로
영업활동으로 지출된 비용인 '영업비용(operating expense)'과
그 외의 '영업외비용(non-operating expense)'
그리고 법인세비용(tax expense)으로 나뉜다.
영업비용(operating expense)은
제품의 생산이나 구매를 하는데 지출된 '매출원가(cost of sales (goods sold)'와
판매와 관리에 사용된 '판매비와 일반관리비(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를 포함한다.
이익(profit)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매출총이익(gross profit) = 영업수익(매출액) - 매출원가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 영업수익 - 영업비용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income before tax) = (영업수익 + 영업외수익) - (영업비용 + 영업외비용)
당기순이익(net income, earning) = 수익 - 비용